1 |
|
[[분류:먼지위키의 규정]]
|
2 |
|
[include(틀:먼지위키)]
|
4 |
|
상위 문서: [[먼지위키:기본방침]]
|
6 |
|
[목차]
|
8 |
|
== 토론지침 ==
|
10 |
|
* 먼지위키의 이용자는 편집 분쟁은 토론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12 |
|
* 토론은 편집 분쟁이 발생할 때[* 분쟁이 일어나지 않은 사안의 경우 굳이 토론을 발제할 필요가 없다.], 문서의 편집 방향에 대해 이용자들의 의견을 모아 합의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14 |
|
* 편집 분쟁으로 인한 토론이 아닌 의견 취합 등 다른 목적으로 토론을 발제한 경우 해당 토론에서 합의된 사항을 곧바로 문서에 적용할 수 있다.
|
16 |
|
* 단, 토론 참여자 간 의견이 전부 통일되어야 한다.
|
18 |
|
* 먼지위키 규정을 위반하는 토론 합의는 불가하며 무효 처리한다.
|
20 |
|
* 토론 합의 당시일의 규정을 기준으로 본다.
|
22 |
|
* 규정 개정 토론은 [[먼지위키:기본방침#규정 개정]]의 내용을 우선으로 한다.
|
24 |
|
[각주]
|
26 |
|
=== 발제 의무 및 서술 고정 ===
|
28 |
|
==== 토론 발제 및 참여 의무 ====
|
30 |
|
* 토론 발제는 해당 편집에 먼저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에게 의무가 있다.
|
32 |
|
* 이의제기자는 토론 발제나 토론 참여 없이 반복적인 되돌리기를 3회 이상 진행하면 안된다.
|
34 |
|
* 기존에 편집한 사람도 편집 분쟁을 인지하는 순간 발제 의무가 생긴다.
|
36 |
|
* 기존 편집자는 토론 발제나 토론 참여 없이 반복적인 되돌리기를 5회 이상 진행하면 안된다.
|
38 |
|
* 위의 규정을 어길 경우 사용자의 의무 중 '서술의 고집 금지' 조항을 위반한 것으로 본다.
|
40 |
|
[각주]
|
42 |
|
==== 토론 중 서술의 고정 ====
|
44 |
|
* 내용의 단순 수정 관련 토론의 경우 기존 서술로 고정 후 토론을 진행한다.
|
46 |
|
* 편집된 지 36시간이 지난 경우 기존 서술로 본다.
|
48 |
|
* 문서 또는 문단 통삭제 토론은 서술시점을 막론하고 존치한 채 토론을 진행한다.
|
50 |
|
[각주]
|
52 |
|
=== 토론 절차 ===
|
54 |
|
==== 토론 중임을 알릴 틀 부착 ====
|
56 |
|
* 편집 분쟁으로 인한 토론의 발제 시 문서에 다음의 절차에 따라 틀을 부착하여야 한다.
|
58 |
|
* 토론이 열려 있으며, 대상이 되는 문서 모두 최상단에 토론 중임을 알리는 틀[* [[틀:토론 중]] 틀, 다중 토론일 경우 [[틀:다중 토론 중]] 틀]이 부착된 시점부터 토론 시작으로 간주한다.
|
60 |
|
* 다중 토론의 대상이 되는 문서들은 최상단에 [[틀:다중 토론 중]] 틀을 부착한다.
|
62 |
|
* 다중 토론일 경우 [[틀:다중 토론 중]] 틀이 있는 시점부터 토론 시작으로 간주한다.
|
64 |
|
* 위의 절차를 지키지 않은 토론은 이의제기 기간에 들어갈 수 없다.
|
66 |
|
[각주]
|
68 |
|
==== 합의안 마련과 이의제기 기간 ====
|
70 |
|
합의안 마련 후 이의제기 기간은 명시하여 선언되어야 한다. 이의제기 기간이 끝난 합의안은 문서에 반영된다.
|
72 |
|
===== 일반 이의제기 기간 =====
|
74 |
|
* 토론 시작 이후 합의안에 대한 참여자 간 의견의 합치가 이루어진 후, 12시간의 이의제기 기간을 거친 뒤 합의안으로 반영할 수 있다.
|
76 |
|
*단, 다음과 같은 경우 합치가 이루어지지 않아도 이의제기 기간에 들어갈 수 있다.
|
78 |
|
* 한 쪽 의견의 이용자가 모두 1주 이상의 기간 동안 차단 된 경우
|
80 |
|
* 그 기간 미만으로 차단된 경우는 차단 해제시까지 토론을 일시중단하며 그 사이에 차단자들과 같은 의견을 내는 이용자가 요청할 경우 토론을 즉시 재개한다.
|
82 |
|
* 제시된 합의안에 대한 명확한 근거 없이 지속적으로 반대 의사만 펼치는 경우
|
84 |
|
* 판단이 어려울 경우 관리자가 이에 대한 여부를 판단한다.
|
86 |
|
* 근거가 명확한 반대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이에 대한 반론이 이루어진 후 추가 반대 의견 없이 24시간이 지난 때
|
88 |
|
* 이의제기 기간 중 이의가 제기되면 이의제기 기간은 일시 중단된다.
|
90 |
|
* 이의제기자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해야 하며 근거가 없는 이의는 이의제기 기간 일시 중단의 사유가 될 수 없다.
|
92 |
|
* 이의제기자가 이의를 철회한 경우 이의가 제기되었던 시간까지 기산하여 이의제기 기간을 계속 진행한다.
|
94 |
|
* 이의제기의 근거가 반론되었으나 이의제기자가 명확한 사유 없이 2시간 안에 재반론을 하지 않을 경우, 이의제기 기간이 다시 진행되며 이 때 반론을 받은 이의는 다시 제기할 수 없다.
|
96 |
|
* 이의제기 기간 중 합의안이 수정된 때에는 이의제기 기간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
98 |
|
* 단, 윤문 등 합의안의 내용이 실질적으로 변하지 않는 경우 기존의 이의제기 기간을 계속 이어나간다.
|
100 |
|
===== 단독 이의제기 기간 =====
|
102 |
|
* 합의안을 제시한 참여자 외 다른 토론 참여자의 동의가 없는 경우 단독 이의 제기 기간을 시작할 수 있다.
|
104 |
|
* 토론 시작 후 6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이의 제기 기간 시작 후 24시간이 경과하면 합의안을 반영할 수 있다.
|
106 |
|
* 반대 의견이 제시되면 이의제기 기간에 돌입한 후의 일반 이의제기 기간 규정을 따른다.
|
108 |
|
[각주]
|
110 |
|
==== 토론의 중재 ====
|
112 |
|
* 토론 진행 중 합의안 마련이 어렵다고 판단한 이용자는 관리자에게 중재를 요청할 수 있다.
|
114 |
|
* 중재와 종료 등 토론과 관련된 요청은 [[먼지위키:토론 문의 게시판]]에서 한다.
|
116 |
|
* 토론이 24시간 이상 지속될 경우 관리자는 토론에 중재자로 강제 개입할 수 있다.
|
118 |
|
* 중재자는 해당 토론을 전반적으로 지휘할 수 있는 사회권을 지니며 토론 참여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
120 |
|
* 중재자는 토론지침에 따른 근거를 취합하고 정리한다.
|
122 |
|
* 참여자들에게 토론지침에 따른 근거 제시를 강제할 수 있다.
|
124 |
|
* 제시된 근거의 신뢰성을 평가하여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한 근거는 배제할 수 있다.
|
126 |
|
* 중재자가 있는 경우 중재자의 확인 후 이의제기 기간에 돌입할 수 있다.
|
128 |
|
* 중재자가 개입했음에도 의견이 합치되지 않을 경우, 중재자는 중재안을 제시할 수 있다.
|
130 |
|
* 중재자는 토론 참여자들 간 의견의 합치를 이루기 위한 최소한의 사회 행위를 한 후에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
132 |
|
* 타당한 근거를 제시한 쪽의 의견을 중재안으로 제시한다.
|
134 |
|
* 양 측의 근거가 모두 옳거나 빈약하여 승자의 결정이 어려울 때는 절충안을 내거나 적절한 새로운 결론을 낼 수 있다.
|
136 |
|
* 중재안은 12시간의 이의제기 기간을 거친 후 반영된다.
|
138 |
|
* 이의제기 기간 중 들어오는 이의의 정당성은 중재자가 전적으로 판단한다.
|
140 |
|
* 중재 결론을 도출하기 어렵다고 판단되거나 토론을 더 이상 중재하기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중재자는 운영진 논의에 회부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토론 당사자에 해당하는 운영자는 표결에 참여할 수 없다.
|
142 |
|
* 중재 절차와 중재안을 통한 결론 도출과 관련하여 이의가 있는 이용자는 사무관에게 이의제기를 할 수 있다.
|
144 |
|
* 사무관은 이의제기를 판단하여 중재자 교체, 중재안 수정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146 |
|
[각주]
|
148 |
|
==== 토론의 구속력 ====
|
150 |
|
* 위의 절차에 따라 나온 결론은 구속력을 지닌다.
|
152 |
|
* 토론의 결론은 기본적으로 토론이 진행된 문서에서만 적용되며, 두 가지 이상의 문서에 적용되려면 해당 문서가 결론에 언급되어야 한다. 단, 먼지위키 전체에 적용되는 합의안은 규정 개정 토론으로만 만들 수 있다.
|
154 |
|
* 토론 합의는 합의안에 언급된 내용 그대로 따른다.
|
156 |
|
* 그럼에도 애매할 경우 운영자의 해석에 따른다.
|
158 |
|
* 토론 합의는 토론이 진행된 문서[* 리다이렉트 문서, 삭제된 문서 제외.]의 상단에 [[틀:토론 합의]]가 부착됨으로써 표시되어야 한다.
|
160 |
|
* 단, 리다이렉트 문서나 삭제되는 문서의 경우 토론 합의를 반영하면서 합의된 토론의 주소를 편집 요약으로 표시해야 한다.
|
162 |
|
* 표시하지 않은 경우 결론을 어겼다는 이유로 제재할 수 없다.
|
164 |
|
* 틀:토론 합의에는 다음의 내용을 표시한다.
|
166 |
|
* 합의된 토론의 결론
|
168 |
|
* 합의된 토론의 주소와 합의안의 댓글 번호
|
170 |
|
[각주]
|
172 |
|
=== 근거 제시 및 증명 책임 ===
|
174 |
|
==== 증명 책임 ====
|
176 |
|
* 문서 및 문단 통삭제 토론의 경우 삭제를 주장하는 측이 먼저 근거를 제시해야 할 의무가 있다.
|
178 |
|
* 그 외의 토론의 경우 신규 서술 주장자가 먼저 근거를 제시해야 할 의무가 있다.
|
180 |
|
==== 근거 신뢰성 판단 ====
|
182 |
|
* 근거가 충돌할시 다음과 같은 순위로 신뢰성을 판단한다.
|
184 |
|
* 1. 토론 주제와 직접적으로 결부된 원문
|
186 |
|
* 2. 국가기관의 통계자료
|
188 |
|
* 3. 논문, 일반적 학술자료
|
190 |
|
* 4. 학위를 가진 자나 공기관이 작성 또는 인증한 서적, 제도권 언론의 기사
|
192 |
|
* 순위 외 자료나 자의적인 해석은 신뢰성이 낮은 근거로 판단하나, 중재자는 토론 내에서 순위를 바꿀 수 있다.
|
194 |
|
|
196 |
|
===== 제도권 언론사 =====
|
198 |
|
* '''제도권 언론사'''는 다음과 같다.
|
200 |
|
* 신문: 경향신문, 국민일보, 동아일보, 문화일보, 서울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매일경제신문, 서울경제, 한국경제신문, 헤럴드경제
|
202 |
|
* 지역종합일간지 8개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발간한 2017 신문산업실태조사에서 자세히 다룬 지역종합일간지 8개사] : 강원일보, 경인일보, 광주일보, 국제신문, 대전일보, 매일신문, 부산일보, 영남일보
|
204 |
|
* 방송: KBS, MBC, SBS, EBS, JTBC, MBN, TV조선, 채널A, YTN, 연합뉴스TV
|
206 |
|
* 지역 민영방송 12개사 : G1, TJB, 청주방송, KNN, 울산방송, TBC, 광주방송, 전주방송, 제주국제자유도시방송, 경인방송, OBS경인TV, 경기방송
|
208 |
|
* 해외 언론:
|
210 |
|
* 영국: 파이낸셜 타임즈, 더 타임즈, 가디언, BBC, 인디펜던트
|
212 |
|
* 미국: 뉴욕 타임즈, 월스트리트 저널, 워싱턴 포스트, 타임, CNN, AP, The Atlantic
|
214 |
|
* 일본: 교도통신, NHK,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
216 |
|
* 그 외: 로이터 통신, 노이에 취르허 차이퉁, 르몽드, AFP, 엘 파이스, 알 자지라
|
218 |
|
* 기타: 뉴스1, 뉴시스, 연합뉴스
|
220 |
|
[각주]
|
222 |
|
=== 댓글의 블라인드 ===
|
224 |
|
* 운영자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토론 댓글을 블라인드 할 수 있다.
|
226 |
|
* 도배 등 사용자의 의무 위반 사안이거나, 해당 댓글이 토론의 원활한 진행에 방해가 되는 경우
|
228 |
|
* 단순 윤문 등 고쳐야 할 공지가 있거나 혼란이 예상되는 경우, 혹은 운영 관련 토론에서 운영에 지장이 될 때
|
230 |
|
* 다음과 같은 사안에서는 블라인드 할 수 없다.
|
232 |
|
* 운영에 대한 이용자의 의견. 단 작성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혹은 문제되는 내용이 있을 때는 예외로 한다.
|
234 |
|
* 블라인드 후 다른 이용자의 관련 문의가 있는 겅우 운영진은 블라인드 사유를 공개해야 한다.
|
236 |
|
|
238 |
|
=== 토론의 종결 ===
|
240 |
|
* 운영자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토론을 종결할 수 있다.
|
242 |
|
* 60시간 이상 방기된 규정 개정 토론.
|
244 |
|
* 48시간 이상 방기된 토론.
|
246 |
|
* 필요한 경우 중재 중인 관리자는 방기 시간을 최대 96시간까지 연장할 수 있다.
|
248 |
|
* 운영을 위해 개설한 일부 토론이나 사용자 토론에서는 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다.
|
250 |
|
* 토론을 개설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
|
252 |
|
* 토론이 합의되어 절차가 완료된 경우
|
254 |
|
* 발제자가 발제를 철회한 경우.
|
256 |
|
* 단, 타 이용자의 동의를 받은 경우 발제 철회해도 종결할 수 없다.
|
258 |
|
* 용건이 끝난 토론인 경우
|
260 |
|
* 규정을 위반한 발제인 경우
|
262 |
|
* 발제자가 48시간 이상 차단된 경우
|
264 |
|
* 발제자와 동일 의견을 내는 이용자가 있다면 토론을 계속 이어간다.
|
266 |
|
* 편집 분쟁으로 인한 토론의 경우 적용하지 않는다.
|
268 |
|
* 규정 개정 토론에서 발제안이 기본방침 서문을 위반한 것이라고 운영자가 판단한 경우
|
270 |
|
=== 타 위키에서의 토론 합의 ===
|
272 |
|
* 타 위키에서의 토론 합의는 먼지위키에 적용될 수 없으며 적용을 원할 경우 토론으로 합의해야 한다.
|
274 |
|
[각주]
|
|
1 |
#redirect 먼지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