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
[[분류:먼지위키의 규정]]
|
2 |
|
[include(틀:먼지위키)]
|
4 |
|
상위 문서: [[먼지위키:기본방침]]
|
6 |
|
[목차]
|
8 |
|
== 기본 사항 ==
|
10 |
|
* '''지원권'''이란 이 규정에 따라 이용자가 선출직 운영자에 지원할 수 있는 권리이다.
|
12 |
|
* 지원권은 기본적으로 가입 후 15일 이상 경과한 모든 먼지위키의 이용자에게 있으나, 이 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지원권이 제한될 수 있다.
|
14 |
|
* 지원권이 제한될 시 기본적으로 관리자 지원권과 중재자 지원권이 모두 제한된다. 단 특정 직책에 대한 지원권 제한임이 명시되어 있을 경우 이를 따른다.
|
16 |
|
* '''심사'''란 이 규정에 따라 지원자를 운영자로 선출할지 판단하는 행위, 또는 이에 대한 절차를 통칭한다.
|
18 |
|
* 심사는 아래에서 정의하는 임명 회의와 운영사 검토로 구성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나, 이 규정에 다른 심사 방식이 제시되어 있을 경우 그것을 따른다.
|
20 |
|
* '''임명 회의'''란 이 규정에 따라 선출직 운영자가 지원자를 심사하는 과정, 또는 이에 대한 절차를 통칭한다.
|
22 |
|
* '''추천권'''이란 임명 회의에 참여하여 지원자의 적격 여부에 대한 의견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이다.
|
24 |
|
* '''추천권자'''는 추천권을 가진 운영자를 의미한다.
|
26 |
|
* 임명 회의는 후술된 규정에 따라 지원자의 일부 혹은 전부를 운영사 검토 대상으로 선정할 수 있으며, 운영사는 검토 대상 지원자를 검토한 후 운영진으로 선출할 수 있다.
|
28 |
|
* 선출직 운영자는 이 규정을 준수하여 선출되어야 한다. 이 규정에 위배되는 선출은 원칙적으로 무효로 한다.
|
30 |
|
|
32 |
|
== 관리자의 선출 절차 ==
|
34 |
|
* 관리자의 선출은 아래의 절차를 따라 진행한다.
|
36 |
|
||<|2> 관리자 지원 ||<|2> → || 관리자 임명 회의 || → || 운영사 검토 ||
|
38 |
|
||<-3> 관리자 심사 ||
|
40 |
|
* 관리자는 7일간 지원을 받으며, 7일간 임명 회의를 진행한다.
|
42 |
|
* 관리자 모집과 임명 회의는 격주로 매주 일요일에 시작한다.
|
44 |
|
|
46 |
|
=== 관리자 지원 ===
|
48 |
|
* [[먼지위키:운영진 지원]]의 관리자 지원 스레드를 통해 관리자에 지원할 수 있다.
|
50 |
|
* 관리자 지원 시에는 아래 자료 전부를 '''반드시''' 첨부해야 한다.
|
52 |
|
* 자신의 문서 기여 내역이 포함된 링크
|
54 |
|
* 자신의 제재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링크
|
56 |
|
* 자신의 신고 게시판 이용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링크
|
58 |
|
* 위의 자료를 첨부하지 않은 지원자의 지원은 무효로 한다.
|
60 |
|
* 단, 전·현직 운영자가 관리자에 지원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
62 |
|
[각주]
|
64 |
|
|
66 |
|
=== 관리자 심사 ===
|
68 |
|
* 관리자에 대한 추천권은 관리자로서 재임 기간이 1개월 이상인 관리자에게 부여된다.
|
70 |
|
* 관리자 임명 회의 기간 중 추천권이 생기는 관리자의 경우, 다음 회차의 관리자 임명 회의부터 추천권을 행사할 수 있다.
|
72 |
|
* 관리자 임명 회의는 [[먼지위키:관리자 임명 회의]]에서 진행한다.
|
74 |
|
* 임명 회의 기간 중 특정 추천권자가 더 이상 현직 관리자가 아니게 된 경우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
76 |
|
* 사퇴한 경우에는 해당 추천권자의 의견은 유효하되, 이후 변경을 금지한다.
|
78 |
|
* 사측에서 강제로 권한을 회수하는 등 사퇴 외의 경우에는 해당 추천권자의 의견을 무효로 한다.
|
80 |
|
* 추천권을 행사한 추천권자의 절반 이상이 선출에 동의한 지원자를 운영사 검토 대상으로 선정한다.
|
82 |
|
* 기권 수는 모수에 포함하지 않는다.
|
84 |
|
* 최종 선출 결과는 관리자 심사가 종료된 후 확정되고 발표한다.
|
86 |
|
* 다음의 경우 사측 관리자는 관리자 임명 회의를 생략하고 관리자를 임명할 수 있다.
|
88 |
|
* 관리자의 수가 10명 미만인 경우
|
90 |
|
* 업무 적체가 자주 발생하거나 실질적으로 활동하는 관리자가 10명 미만이며, 관리자 추천권자의 표결을 통해 생략을 결정하는 경우
|
92 |
|
* 위 조항에 따른 표결은 운영진 게시판에서 최대 48시간 동안 진행한다.
|
94 |
|
* 표결이 종료되었을 때 관리자 추천권자의 ⅓ 이상이 동의함과 동시에 표결한 관리자 추천권자의 과반수가 동의하였을 시 관리자 임명 회의를 생략한다.
|
96 |
|
* 전항에도 불구하고 40% 이상의 관리자 추천권자가 동의한 경우 표결을 종료하고 관리자 임명 회의를 생략한다.
|
98 |
|
|
100 |
|
=== 관리자 지원의 기각 ===
|
102 |
|
* 다음의 경우 관리자 지원은 기각된다.
|
104 |
|
* 추천권을 행사한 추천권자 중 과반이 선출에 반대하는 경우
|
106 |
|
* 사측 관리자가 지원자를 관리자로 임명하지 않는 경우
|
108 |
|
|
110 |
|
== 운영진 지원 시 부계정 공개 의무 ==
|
112 |
|
* [[먼지위키:운영진 지원]]에서 관리자에 지원하려는 모든 이용자들은 제재된 기록이 있는 부계정(IP 포함)이 존재할 경우 지원 단계에서 이를 숨김 없이 밝혀야 한다.[* 이 때, 제재 이력이 있는 부계정의 차단 내역을 첨부하는 것으로 한다.]
|
114 |
|
* 제재된 부계정이 존재함에도 이를 밝히지 않았음이 적발될 경우, 「[[먼지위키:기본방침/운영지침#지원권 제한|지원권 제한]]」 문단의 2회차 적발 조항의 지원권 제한 기간을 적용한다.
|
116 |
|
* 위 규정을 반복적으로 위반한 경우 사측 관리자는 지원권을 무기한 제한할 수 있다.
|
118 |
|
* 부계정의 차단 내역은 다음과 같이 제출하여야 한다.
|
120 |
|
* [[https://meonji.wiki/block_log/user/사용자명]]와 같이 부계정의 닉네임을 정확하게 입력한 링크를 제출한다.
|
122 |
|
* 단, 전·현직 운영자가 운영진에 지원하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
124 |
|
|
126 |
|
== 전현직 운영진의 심사에 대한 특례 ==
|
128 |
|
* 아래의 조건을 만족하는 운영진 재임 이력이 있는 이용자가 관리자에 지원하면 본 특례를 적용한다.
|
130 |
|
* 누적 재임기간 4개월 이상.
|
132 |
|
* 지원일 기준으로 6개월 내 차단 이력이 없어야 함.
|
134 |
|
* 위에 해당하는 이용자가 운영진에 지원할 때, 운영진 지원단계에서 운영진 지원 스레드를 통해 '''반대 없이 추천권자 5인의 동의를 받거나, 최초로 특례 적용 반대 의견이 제시된 시점으로부터 6시간 이후에 특례 적용 찬성 의견을 제시한 추천권자가 반대 의견을 제시한 추천권자보다 5명 이상 더 많은 경우''' 사측 관리자는 추천권자의 요청에 따라 심사를 생략하고 해당 지원자를 임명할 수 있다.[* 이 때 동의표는 반대표보다 더 많아야 한다.]
|
136 |
|
* 단, 해당 규정으로 심사가 진행 중인 운영진이 3명 이상[* 직책이 동일한 경우만 포함]인 경우, 운영진 지원 문서의 별도 스레드[* 직책이 다르면 스레드를 각각 발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이 때 해당 스레드의 링크를 운영진 지원 문서의 각 직책 지원 스레드에 명시하는 것으로 한다.]를 발제해 해당 스레드에서 논의하여야 한다.
|
138 |
|
* '''특례 대상 지원자가 추천권자의 추천수 부족 상태로 지원 기간이 종료됐을 경우, 운영진 임명 회의는 진행하되 심사방식과 기간에 대해서는 본 특례를 따를 수 있으며, 이때 추천 수는 운영진 지원 스레드와 운영진 임명 회의 스레드를 합산하여 계산한다.'''
|
140 |
|
* 본 특례는 임기가 종료된지 최소 1개월이 지난 전직 운영자의 지원에 한해 유효하다.
|
142 |
|
|
144 |
|
== 심사할 지원자가 없을 경우의 임명 회의 진행 ==
|
146 |
|
* 관리자 지원의 경우, 지원자가 없어도 임명 회의를 1주 진행한다.
|
148 |
|
* 중재자 지원의 경우, 지원자가 있을 때만 임명 회의를 진행한다.
|
150 |
|
* 지원자의 심사가 생략된 경우에도 [* 사측 직권 선발이나 특례가 적용된 경우 등] 임명 회의를 진행 및 문서에 기록한다.
|
152 |
|
[각주]
|
154 |
|
|
156 |
|
== 지원권 제한 ==
|
158 |
|
* 운영자 지원이 기각되거나 해당 임명 회의 절차 중 지원자에 대한 반대 의견이 있는 상태에서 지원을 철회하였을 시 임명 회의가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3주가 되는 때까지 지원권을 제한한다.[* 예시: 임명 회의가 5월 1일 0시에 시작하였고 반대 의견이 있는 상태에서 5월 4일날 지원자가 지원을 철회했다면, 5월 21일 23:59:59까지 지원권을 제한한다.]
|
160 |
|
* 단, 임명 회의가 종료되거나 지원을 철회한 시점에서 의견[* 기권 포함]을 표명한 추천권자의 ⅔ 이상이 반대한 지원자는 '''임명 회의가 시작된 시점으로부터 5주가 되는 때까지 지원권을 제한한다.'''[* 예시: 임명 회의가 5월 1일 0시에 시작하였고 반대 의견이 있는 상태에서 5월 4일날 지원자가 지원을 철회했다면, 6월 4일 23:59:59까지 지원권을 제한한다.]
|
162 |
|
* 지원권이 제한된 이용자가 운영자에 지원한 것이 여러 차례 적발될 경우, 지원권을 다음과 같이 제한한다.
|
164 |
|
* 2회차 적발 시, 기존 지원권 제한 기간 종료일로부터 2주가 되는 때까지 제한
|
166 |
|
* 3회차 적발 시, 기존 지원권 제한 기간 종료일로부터 4주가 되는 때까지 제한
|
168 |
|
* 4회차 적발 시, 기존 지원권 제한 기간 종료일로부터 8주가 되는 때까지 제한
|
170 |
|
* 5회 이상 적발 시, 무기한 제한
|
172 |
|
* 사측 관리자는 특정 이용자의 지원권을 최대 무기한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때, 사측 관리자는 그 사유를 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
174 |
|
* 사측 관리자는 지원권을 제한할 때 특정 직책에 대한 지원권만을 제한할 수 있다.
|
176 |
|
* 사측 관리자는 지원권이 무기한 제한된 이용자의 지원권 제한을 해제할 수 있다.
|
178 |
|
[각주]
|
180 |
|
|
182 |
|
== 기타 사안에 대한 결정 ==
|
184 |
|
* 운영회의는 이 규정에서 정하지 않은 운영진 선출 관련 사안에 대한 결정을 할 수 있다.
|
186 |
|
|
188 |
|
== 운영진 선출에 대한 이의 제기 ==
|
190 |
|
* 먼지위키의 이용자는 선출 절차의 종료 후 1개월 동안 절차상 문제에 대한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
192 |
|
* 이 규정을 통해 정해지지 않은 사항은 '''[[먼지위키:기본방침/운영지침#이의제기|이의제기]]: 운영자에 대한 이의 제기'''를 준용한다.
|
194 |
|
|
196 |
|
== 규정 개정의 제한 및 적용 시점에 관한 특별규정 ==
|
198 |
|
* 이 규정은 운영회의를 통해서만 개정할 수 있다. 단, 다음과 같은 경우는 예외로 한다.
|
200 |
|
* 단순 윤문 혹은 오탈자 수정의 경우
|
202 |
|
* 사측 관리자에 의한 개정의 경우
|
204 |
|
* 이 규정을 개정한 운영회의에서 개정안의 발효 시점[* 예시: 5월 1일 이후 지원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적용한다.]을 명시하였을 경우 이를 따른다.
|
206 |
|
* 이 규정을 개정한 운영회의에서 개정안의 발효 시점을 명시하지 않았을 경우, 개정 후 첫 일요일 0시 이후 지원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적용한다.
|
208 |
|
* 단순 윤문 혹은 오탈자 수정 목적의 개정은 반영 즉시 적용한다.
|
210 |
|
* 사측 관리자에 의한 개정의 경우, 발효 시점이 명시되지 않은 운영회의의 합의에 따른 개정에 준하여 처리한다. 단, 사측 관리자가 별도의 발효 시점을 명시하는 경우 이를 따른다.
|
212 |
|
* 이 규정을 통해 정해지지 않은 사항은 '''[[먼지위키:기본방침/운영 관리 방침#운영회의의 합의에 따른 규정 개정에 관한 특례|운영회의의 합의에 따른 규정 개정에 관한 특례]]'''를 따른다.
|
214 |
|
[각주]
|
216 |
|
== 이의제기 ==
|
218 |
|
* 먼지위키의 모든 이용자는 운영진의 잘못된 운영 행위에 대해 시정 및 징계를 요구하는 이의제기를 할 수 있다.
|
220 |
|
* 운영진에 대한 이의제기는 사측 관리자 또는 최고 관리자이가 처리한다.
|
222 |
|
* 운영진에 대한 징계는 다음과 같다.
|
224 |
|
* 주의: 해당 운영진에 재발 방지를 요청함에 지나지 않는다.
|
226 |
|
* 경고: 심각한 행위에 해당하여 수 차례 부여받을 시 권한 회수의 근거로 활용이 가능하다.
|
228 |
|
* 권한 회수: 징계 절차 중 최후의 조치로서 아래의 사측의 결정에 따라 운영진의 권한을 회수한다.
|
230 |
|
=== 출처 ===
|
232 |
|
해당 문단은 알파위키의 [[https://www.alphawiki.org/w/%EC%95%8C%ED%8C%8C%EC%9C%84%ED%82%A4:%EA%B8%B0%EB%B3%B8%EA%B7%9C%EC%B9%99/%EC%9A%B4%EC%98%81%EC%A7%80%EC%B9%A8?from=%EC%9A%B4%EC%98%81%EC%A7%80%EC%B9%A8#toc|알파위키:운영지침 이의제기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
234 |
|
== 관리 감독 ==
|
236 |
|
* 초임 관리자의 경우 의무로 최소 1주의 관리 감독 기간을 지내야 한다.
|
238 |
|
* 관리 감독 관리자는 최소 1개월 재임 경력을 가진 관리자만 담당 할 수 있다.
|
240 |
|
* 초임 관리자는 관리 감독 관리자를 직접 선택 할 수 있으며 관리 감독 관리자의 사용자 토론으로 요청해야 한다.
|
242 |
|
* 초임 관리자가 규정 미숙 등으로 관리자 자격이 없다고 판단될 시 관리 감독 관리자는 이의제기를 할 수 있다.
|
244 |
|
== 임기 ==
|
246 |
|
* 먼지위키에서 활동하는 관리자는 기본적으로 임기가 무제한 이지만 사퇴,휴가가 가능하다.
|
|
1 |
#넘겨주기 먼지위키:기본방침/운영 관리 방침/운영진 선출 |